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5년 세종도서 지원 사업 우수 학술도서 2권 선정 /2025.11.21(금)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5년 세종도서 지원 사업 우수 학술도서 2권 선정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5년 세종도서 지원 사업 우수 학술도서 2권 선정.png

<‘2025 세종도서 지원 사업’에 선정된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발간 학술연구 도서 2종>

 숭실대학교(총장 이윤재)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원장 박삼열)은 올해 발간한 도서 중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세종도서 지원 사업’에 두 권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연구원 소속 윤정란 교수가 주요 필자로 참여한 『냉전·종교·인권, 1960~1980년대(숭실대HK+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총서 17)』는 사회과학 분야(108종 선정)에서 선정되었다.

또한 연구원 소속 김지영 교수의 단독 저서 『뒤틀린 운명의 메타모포시스: 헝가리 현대사의 격동기(숭실대HK+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총서 20)』는 역사·지리·관광(37종 선정) 분야에서 선정되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이번 ‘세종도서 지원 사업’이 2024년 6월부터 2025년 4월까지 국내에서 초판 발행된 학술도서 중 2,289종을 심사 대상으로 하여, 10개 분야 353종을 우수 도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도서는 구매 계약 체결 후 전국 도서관, 인문시설, 해외문화원 등에 보급된다.

이번에 선정된 두 도서는 올해 7년간의 연구사업을 마무리한 숭실대학교 HK+(인문한국플러스) 사업의 2단계 아젠다 연구성과를 정리한 결과물이다. 연구원은 3년간의 2단계 연구에서 근대 전환공간의 무대를 1945년 해방 이후 1970년대까지 확장하여 냉전시대 한국의 문화변동을 중점적으로 탐구했다고 밝혔다.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5년 세종도서 지원 사업 우수 학술도서 2권 선정1.png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윤정란 교수(좌)와 김지영 교수(우)>

 『냉전·종교·인권, 1960~1980년대』는 한국사회가 산업화되면서 경제성장과 더불어 빈부격차가 확대된 상황에 주목했다. 그로 인해 사회 각 분야의 불만이 표출되었고 박정희 정권은 이를 정치적으로 억압하여 저항운동이 전개될 수밖에 없었던 양상을 냉전문화와 종교적 저항운동의 측면에서 탐구했다.

윤정란 교수는 책의 제1부 ‘냉전과 종교’에서 “민주화와 인권을 중심으로 저항운동을 주도했던 개신교와 가톨릭의 냉전적 국제 관계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며,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었던 냉전자유주의 또는 자유반공주의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했다”고 밝혔다. 또한 제2부 ‘냉전과 인권’은 “1973년 베트남전 종결 이후 미국 국제인권정치라는 관점에서 개신교와 가톨릭의 인권 문제를 다루었다”고 소개했다.

한편 『뒤틀린 운명의 메타모포시스: 헝가리 현대사의 격동기』를 집필한 김지영 교수는 헝가리 현대사가 한국 현대사만큼이나 격동기를 겪었으며, 중대한 판단 착오가 이후의 운명을 갈랐던 변곡점을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 책에 대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헝가리와 루마니아 간 트란실바니아 영토 분쟁을 중심으로, 당시 유럽 강대국들의 외교 전략과 정책 결정을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성과”라고 밝혔다.

지난 4월까지 숭실대학교 HK+(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을 이끌었던 장경남 숭실대학교 학사부총장은 ”이번 선정 도서를 포함해 총서로 발간된 사업단 연구성과 중 6권(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3권, 세종도서 3권)이 외부 평가기관에서 우수한 학술연구 성과로 인정받았다“고 했다.

장 부총장은 “대학본부의 지원과 교내외 여러 연구진의 공동연구로 결실을 맺어 HK+사업을 잘 마무리할 수 있었다”며, “우수도서 선정이라는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박삼열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장은 “우수 학술도서에 선정된 두 교수님께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며 “우수 학술도서 선정을 계기로 앞으로 본 연구원의 학술연구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는 소감을 전했다.

박 원장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은 앞으로도 기독교총서, 인문학총서, 번역총서 발간을 지속해 한국 인문학 학술 담론의 장을 이끌어가겠다”고 밝혔다.

 

홍보팀(pr@ssu.ac.kr)

화살표TOP